Rabu, 10 April 2019

박삼구의 배수진…전재산 걸고 `아시아나 살리기` 올인 - 매일경제

◆ 금호아시아나 자구안 제출 ◆

10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KDB산업은행에 제출한 자구계획은 그룹이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총망라한 자구안으로 분석된다.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사진)이 사실상 모든 것을 걸고 아시아나항공을 살려내겠다는 강력한 경영 정상화 의지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금호그룹은 박 전 회장의 경영 복귀가 없음을 확인하고 총수 일가의 모든 금호고속 지분을 아시아나항공 정상화를 위한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동시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것은 산은과 금융당국이 강조한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산은 등 채권단의 재신임을 받고 추가적인 금융 지원을 받아내겠다는 포석이다. 우선 박 전 회장은 본인의 지분을 포함해 가족들이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 전량을 담보로 내놨다. 박 전 회장의 부인인 이경열 여사가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 3.1%와 딸 박세진 금호리조트 상무 지분 1.7%를 모두 담보로 내놓고, 기존 금호타이어 차입금에 담보로 잡혀 있는 박 전 회장과 박세창 아시아나IDT 사장의 지분 42.7%에 대해서도 가능하면 담보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박 전 회장 등 일가가 보유한 금호고속의 총 지분율은 55.5%에 달한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기존 금호타이어의 차입금에 담보로 제공돼 있는 지분의 담보가 해소되면 모두 아시아나항공의 정상화를 위해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며 "그룹의 지주사인 금호고속 지분 중 사실상 박 전 회장 일가가 보유한 모든 것을 걸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측은 박삼구 전 회장의 경영 복귀가 없다고도 재차 못 박았다. 박 전 회장은 지난달 28일 "아시아나항공 회계 쇼크 사태에 모든 책임을 지고 그룹 경영에서 물러난다"고 밝혔지만 시장에서는 2009년처럼 박 전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퇴진했다 1년 만에 복귀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도 많았다.

금호그룹은 그러나 산은에 박 전 회장의 경영 복귀 의지가 전혀 없다는 점을 재차 확인해준 것이다. 또 아시아나항공 자회사 등 보유 자산을 포함한 그룹사 자산 매각을 통해 지원자금을 상환하고, 수익성 개선을 위한 항공기 감축과 비수익 노선 정리, 인력 생산성 제고 등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일부 인력 구조조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44.2%), 아시아나IDT(76.2%), 아시아나에어포트(100%), 아시아나세이버(80%), 아시아나개발(100%), 에어서울(100%) 등을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상장사인 에어부산과 아시아나IDT의 보유 지분 시장 가치는 이날 종가 기준으로 1060억원, 1020억원 수준이다.

결국 이번 자구안의 핵심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3년의 시간을 벌게 되면 다른 자산을 모두 매각해서라도 아시아나항공만은 살려내겠다는 것이다.

아시아나항공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 박해춘 전 국민연금 이사장도"대주주(박삼구 전 회장)가 강력한 책임감을 갖고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며 "국적항공사들이 모두 경영상의 위기를 겪고 있는 지금 정부도 책임감을 갖고 구조조정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전 이사장은 "과거 해운 구조조정 때 해운 대란을 겪었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라도 항공 구조조정에도 개별 기업에 대한 정책적 상황 판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추가 자금 지원 5000억원으로는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급한 불은 끌 수 있겠지만 정비비를 낮추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 항공기를 도입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조달금리가 이미 8%대까지 치솟아 재무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아시아나가 자체적으로 시장에서 3~4%대 자금 조달이 가능하려면 추가 자금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시장에서 일찌감치 매각 가능성을 제기했던 것도 이런 사정 때문이다.

만약 인수·합병(M&A)이 이뤄진다면 잠재적 인수 후보군은 다양하다. 금융계에서는 국적항공사라 해외 매각이 사실상 불가하고, 사모펀드 등 재무적 투자자에게 매각도 어려운 상태인 만큼 국내 대기업이 나서는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한예경 기자 / 전경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4/221247/

2019-04-10 08:56:51Z
52781636236365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