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의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삼성에피스)가 작년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한 검찰 수사를 대비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보고한 것으로 추정되는 파일을 대거 삭제한 정황이 드러났다.
검찰은 삼성바이오의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한 주요 내용이 이 부회장에게 보고됐을 가능성을 의심하며 수사를 `윗선`으로 넓혀가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22일 김태한 삼성바이오 대표에 대해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모 삼성전자 사업지원TF 부사장, 박모 삼성전자 부사장에게도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김모·박모 부사장은 앞서 증거인멸과 증거인멸교사 등 혐의로 구속된 삼성전자 사업지원TF 백모 상무와 보안선진화TF 서모 상무를 지휘한 윗선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정현호 삼성전자 사업지원TF 사장의 소환 시기도 저울질하고 있다.
사업지원 TF는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후신으로 통하는 곳으로, 정 사장은 1990년대 미국 하버드대 유학 시절 이재용 부회장과 인연을 맺은 최측근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이 부회장도 소환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양모(구속기소) 삼성에피스 상무는 작년 7월 증권선물위원회의 삼성바이오에 대한 검찰 고발이 예상되자 재경팀 소속 직원들에게 `부회장 통화결과`와 `바이오젠사 제안 관련 대응방안(부회장 보고)` 폴더 내 파일 등 2천100여개의 파일 삭제를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해당 폴더 내 `부회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뜻한다고 보고 있다.
삭제된 파일은 `부회장 통화결과` 폴더 내 통화 내용을 정리한 파일, `바이오젠사 제안 관련 대응방안(부회장 보고)` 폴더 내 `삼성에피스 상장계획 공표 방안`, `상장 연기에 따른 대응방안`, `바이오젠 부회장 통화결과`, `상장 및 지분구조 관련` 파일 등이다.
양 상무는 삼성에피스 임직원 수십명의 휴대전화와 노트북을 제출받아 이재용 부회장을 지칭하는 `JY`, `VIP`, `합병`, `미전실` 등 단어를 검색해 관련 문건을 삭제한 것으로도 파악됐다. 고한승 삼성에피스 대표도 휴대전화를 제출하라는 요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룹 차원의 증거인멸 정황이 줄줄이 드러나자 증거인멸에 가담해 구속된 삼성바이오 및 삼성에피스 임직원 대부분은 `자체 판단이었다`고 했다가 `윗선 지시를 따른 것`이라고 진술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회사 차원에서 선임한 김앤장 법률사무소 소속 변호사들의 조사 입회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에피스는 증거인멸뿐 아니라 기업가치평가 내용이 담긴 문건을 조작해 금융당국에 제출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에피스는 작년 3월 분식회계 의혹을 조사하던 금융감독원에서 `바이오시밀러 사업화 계획` 문건 제출을 요구받자 변호사들과 상의해 문건 조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문건 작성자는 미래전략실 바이오사업팀에서 삼성바이오 재경팀으로, 작성 시점은 2011년 12월에서 2012년 2월로 각각 수정됐다.
이 문건은 삼성바이오가 미국 바이오젠과 함께 설립할 예정이던 삼성에피스의 사업성과 기업가치평가를 담은 것으로, 2011년 기준 바이오젠에 부여한 콜옵션의 가치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콜옵션 가치를 평가할 수 없어서 2012~2014년 콜옵션 약정을 공시하지 못했다`는 그간의 삼성 측 해명과 배치되는 자료다.
검찰은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비율 산정 과정에서 이 부회장이 대주주인 제일모직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부풀리기 위해 제일모직이 보유한 삼성바이오 가치를 부풀렸는지, 최종 책임자는 누구인지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5/339662/
2019-05-22 10:06:03Z
52781708395600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