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사이즈 보기](https://img.mk.co.kr/news/2013/bt_news_zoom.png)
![](https://file.mk.co.kr/meet/neds/2019/05/image_readtop_2019_335343_15584301823757854.jpg)
한국은 통화정책 완화를 동반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지속하고 최저임금 인상 폭을 완화해야 한다는 권고도 내놨다.
OECD는 21일 발표한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4%로 수정 전망했다. 지난 3월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2.6%)보다 0.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보고서는 글로벌 교역둔화 등에 따른 수출감소와 제조업 구조조정 등에 따른 투자와 고용의 위축으로 한국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18∼2019년 최저임금의 29% 인상으로 특히 저숙련 노동자들의 일자리 증가세가 저해돼 2018년 고용증가율이 0.4%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는 분석도 내놨다.
OECD는 2020년부터는 확장적 재정정책 효과와 투자 회복에 힘입어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회복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정부는 성장세 둔화에 대응해 올해 정부지출을 9% 이상 확대하는 등 확장적 재정정책을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은 경제활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지난 3월 중간전망 때보다 0.1%포인트 낮췄다.
세계경제 주요 리스크로는 보호무역주의 심화,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중국 경기둔화 등을 꼽았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3월 중간전망 당시 2.6%에서 2.8%로 상향조정했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2%에서 2.3%로 올렸다.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6.2%, 내년은 6.0%로 유지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5/335343/
2019-05-21 09:07:39Z
52781708425658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