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열 한은 총재, 최종구 금융위원장,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긴급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일본의 대(對)한국 2차 경제보복,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폭으로 요동친 금융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경제부총리와 한은 총재가 함께 참석한 거시경제금융회의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인 2017년 9월 4일 이후 처음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공매도 규제 강화 △자사주 매입 규제 완화 △증시 수급 안정 방안 등 시장 안정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어떤 단계에 어떤 조치를 말하긴 어렵지만 공매도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선 검토를 충분히 마쳤고, 언제든지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행 시기에 대해선 아직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처럼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선을 그었다. 홍 부총리는 "우리나라 환율시장은 기본적으로 시장 원리로 작동된다"며 "다만 환율시장이 한 방향으로 급격한 쏠림현상이 있을 때는 파인튜닝(미세조정) 차원에서 정책당국이 개입하는 것이 국제적으로 용인된다"고 설명했다.
일본계 자금 이탈 가능성에 대해서도 영향이 크지 않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최 위원장은 "일본계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은 작고,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고 해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김태준 기자 / 김연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8/607767/
2019-08-07 08:58:03Z
CAIiEFOXO8M5VFomihJxmsxlxUAqGQgEKhAIACoHCAow2t-aCDDArqABMNST5AU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