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in, 18 November 2019

탈원전·정규직화 떠안은 공기업 '실적 곤두박질'…결국 국민부담 커져 - 한국경제

공기업 영업益 2년새 '3분의 1 토막'
삼중고에 골병드는 공기업 (下) 줄줄이 실적 추락
한국전력공사 소액주주들이 지난 5월 말 서울 강남대로의 한전 강남지사 앞에서 실적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한전 경영진이 사퇴할 것을 촉구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한국전력공사 소액주주들이 지난 5월 말 서울 강남대로의 한전 강남지사 앞에서 실적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한전 경영진이 사퇴할 것을 촉구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3분기에 351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한수원이 분기별 결산을 공시한 2011년 이후 3분기에 손실을 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18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전력 강원랜드 등 3분기 실적을 공개한 14개 공기업의 올해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3조5400억원으로 집계됐다. 현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같은 기간(9조8967억원) 대비 64.2% 급감한 수치다.

공기업 수익이 크게 줄어든 것은 탈(脫)원전 등 정책 비용과 함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무더기 낙하산 인사 등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빚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 국가 재정에 부담을 지울 것이란 우려가 높다. 기획재정부가 최근 예측한 39개 주요 공공기관의 2021년 부채비율은 167%로, 2년 전 예상치(152%)보다 15%포인트 높아졌다. 홍성걸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는 “각종 정책비용이 급증한 게 공기업 부실화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결국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14개 공기업 1~3분기 누적 영업이익 해마다 급감
한수원, 원전가동 줄며 3분기 351억 영업손실 '적자전환'
탈원전·정규직화 떠안은 공기업 '실적 곤두박질'…결국 국민부담 커져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는 2016년만 해도 12조16억원의 이익을 냈다. 당시 정부(지분율 18.2%)에 배당한 금액만 3622억원에 달해 세정(稅政)에도 적지 않게 기여했다. 하지만 한전은 6년 만에 적자를 기록한 지난해 배당을 못한 것은 물론 올해는 더 큰 폭의 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전의 추락은 과도한 사회적 책임 부여와 정규직 전환 부담, 낙하산 인사 등 삼중고에 시달리는 공기업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2년 새 영업이익 3분의 1 토막

한국경제신문이 올해 1~3분기 실적을 공시한 강원랜드 한국지역난방공사 에스알 등 14개 공기업의 영업이익을 집계해 보니,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0.6% 줄어든 3조5400억원에 그쳤다. 문재인 정부 이전인 2016년(18조4억원)과 비교하면 5분의 1, 첫해였던 2017년(9조8967억원)에 비해선 3분의 1 수준이다.

철도회사인 에스알은 작년 1~3분기 5472억원의 이익을 냈으나 올해는 2557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그랜드코리아레저는 같은 기간 9697억원에서 7403억원으로, 한국서부발전은 1779억원에서 914억원으로, 한국중부발전은 2460억원에서 877억원으로 줄었다.

한전의 1~3분기 누적 이익은 3107억원에 그쳤다. 2011년 이후 최악의 실적이다. 2016년 말 143.4%였던 이 회사 부채비율은 작년 160.6%로 상승한 데 이어 올 상반기 176.1%로 치솟았다. 14개 공기업 중 올 3분기 손실을 기록한 곳은 한국수력원자력(-351억원) 한국지역난방공사(-334억원) 한국가스공사(-1560억원) 등 세 곳에 달한다.

사회적 책임만 강조하는 정부

공기업 실적 악화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우선 에너지 기업들을 중심으로 정부 정책비용이 급증한 영향이 컸다. 대표적인 게 ‘에너지전환’이다. 경제성 높은 원전의 전력 생산을 줄이고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면서 원가 부담이 급증했다. 액화천연가스(LNG) 등 국제 연료가격까지 오르자 적자 폭이 커졌다는 게 전력업계의 설명이다. 3분기 기준 원전 이용률은 2016년만 해도 79.7%였으나 올해는 65.2%로 뚝 떨어졌다.

공기업들은 재무구조 악화와 무관하게 정규직 전환 및 신규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가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고용확대를 압박하고 있어서다. 2년 연속 적자가 불가피한 한전은 올해 검침·청소 등 비정규직 4740명을 한꺼번에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본사 인력(9월 말 기준 2만3336명) 대비 20.3%에 해당할 만큼 큰 규모다.

윤한홍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한전 한수원 동서발전 등 7개 발전·전력 공기업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2018년 신규 채용한 직원이 2494명에 달했다. 이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한 해 1228억원 늘어난 것으로 계산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기업(비금융권 제외)의 인건비 지출은 20조826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 늘었다.

“저효율 고비용 계속”

더 큰 문제는 공기업들의 재무구조 악화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점이다. 한 번 늘려놓은 정규직은 정년을 보장할 수밖에 없다.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정규직은 2016년 말 32만8480명이었으나 지난 9월 기준 40만9091명으로 3년도 안돼 24.5% 급증했다. 정부가 ‘사회적 책임’에 초점을 맞추면서 ‘저효율-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를 전면 폐지한 데 이어 당초 약속했던 직무급제 시행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노동조합이 반대하고 있어서다. 조성봉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기업들이 본질적인 기업 경영보다 사회공헌 확대 등 정부 성과를 내는 데만 치중하면서 경영 실적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며 “지금처럼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는 구조에선 수익 개선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홍성걸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는 “적자가 급증해도 정부 말만 잘 들으면 성과급까지 다 지급되는데 누가 효율성을 따지고 리더십을 발휘하겠느냐”며 “공기업 실적 악화는 정부 책임이 크다”고 했다.

조재길/구은서 기자 road@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11857641

2019-11-18 08:27:43Z
CAIiEKE0iA5jHpKrluc9dGCBLHsqGQgEKhAIACoHCAow0__cCjDUitABMMveiQI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