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업계 '도미노 셧다운' 우려
현대자동차는 부품 재고 부족으로 이번 주말 일부 생산라인의 특근을 취소하고, 가동 중단까지 검토하고 있다. 쌍용자동차는 평택공장을 1주일간 세우기로 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전자 등 국내 산업계 전반으로 ‘도미노 셧다운’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완성차 한 대에 부품 2만여 개가 들어가는 자동차 생산공정 특성상 주요 부품 한두 개만 빠져도 조립 라인을 세울 수밖에 없는 구조다.
현대차는 그동안 전선 제품 대부분을 유라코퍼레이션과 경신기업의 중국 현지 공장 등에서 들여왔다. 이 두 업체의 중국 공장은 우한 폐렴 확산 사태로 오는 9일까지 가동을 중단하기로 했다. 춘제 연휴 기간에 가동을 멈춘 공장의 재가동을 늦춰달라는 중국 지방 정부의 요청 때문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아예 부품 재고가 바닥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의 재고 물량은 4~5일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5일부터 1주일간 울산 아산 전주 등 국내 주요 공장의 문을 닫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대차 노사는 이 기간 단체휴가를 시행하는 방안 등을 놓고 협의에 들어갔다. 기아자동차도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쌍용차는 부품 부족으로 4일부터 1주일간 평택 공장 생산라인을 멈춰 세우기로 했다. 한국GM과 르노삼성자동차도 재고 파악 및 비상 수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전자업체들도 ‘중국발 부품대란’ 우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업체에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의 제조업자개발생산(ODM)을 맡기고 있다. BOE, CSOT 등에선 패널을 받아 쓴다.
LG전자는 골든드래곤, 론지솔라 등 중국 업체로부터 열교환기 부품과 태양광 패널 등을 공급받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달 중순까지는 기존에 확보한 재고 물량으로 버틸 수 있다”며 “다만 사태가 더 길어지면 국내 생산 공정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장창민/황정수 기자 cmjang@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Nmh0dHBzOi8vd3d3Lmhhbmt5dW5nLmNvbS9lY29ub215L2FydGljbGUvMjAyMDAxMzEwNzE5adIBMmh0dHBzOi8vd3d3Lmhhbmt5dW5nLmNvbS9lY29ub215L2FtcC8yMDIwMDEzMTA3MTlp?oc=5
2020-01-31 09:13:40Z
CAIiEPZmq-Om1ufpjzaOo_ElL_gqGQgEKhAIACoHCAow0__cCjDUitABMMveiQI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