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29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 그룹감독제도 향후 추진방향 세미나에서 손상호 한국금융연구원장의 개회사를 경청하고 있다. 왼쪽은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1/29/5ad0edf3-a0c1-44b8-9a5b-d84b6d49884e.jpg)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29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 그룹감독제도 향후 추진방향 세미나에서 손상호 한국금융연구원장의 개회사를 경청하고 있다. 왼쪽은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연합뉴스]
삼성 등 6개 그룹이 규제 대상
김상조 실장의 전공 분야
김 실장의 이날 세미나 참석에는 금융그룹감독제도를 통해 삼성 등 대기업집단에 지배구조 개선을 압박하겠다는 청와대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실장은 한성대 교수 시절부터 삼성·한화 등 복합금융그룹 감독체계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데 가장 앞장서온 장본인이다.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있을 때도 “기업 소유‧지배구조 변화가 비가역적 구조개혁으로 뿌리 내리기 위해서는 공정거래법‧상법‧금융그룹통합감독법 등 3개 법안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이날 세미나에서도 금융그룹의 지배구조 개선 문제가 집중적으로 거론됐다. 은 위원장은 축사에서 “금융그룹의 재무적 위험뿐만 아니라 지배구조와 같은 비재무적 요인에서 오는 위험도 없는지 세밀하게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여당 법제화 추진에 야당 “사회주의적”
금융당국은 이날 세미나 논의 내용을 토대로 1분기 중 금융그룹감독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올해 상반기 중 모범규준을 개정‧연장 시행할 계획이다. 법제화와 관련해 민병두 정무위원장은 이날 축사에서 “20대 국회 마지막 임시국회인 5월 임시국회까지 최대한 (법안 통과를)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야당의 협조 여부는 미지수다. 이날 국회 정무위 간사인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금융그룹통합감독은 기업을 국가가 지배하겠다는 ‘사회주의적 경제노선’의 산물”이라고 반박했다.
성지원 기자 sung.jiwon@joongang.co.kr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5Mjcz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OTI3MzY?oc=5
2020-01-29 09:38:29Z
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5Mjcz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OTI3MzY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