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둔화로 민간 분야 내리막
규제·진입장벽 없애 돕기는커녕
노동시장 직접 개입해 꼬이게 해
전문가들, 올해도 저성장 예측
정부가 단기 재정지출로 민간 부진의 공백을 메운 측면도 있다. 2018년만 해도 성장률(2.7%) 중 민간 기여도는 1.8%포인트, 정부 기여도는 0.9%포인트였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2% 중 1.5%포인트가 정부 몫, 0.5%포인트가 민간 몫으로 뒤바뀌었다.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정부의 성장기여도가 민간을 넘어선 것이다.
지난해 2% 성장률을 사수한 것은 정부가 떠받친 결과라는 의미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 전 분기 대비 1.2% ‘깜짝’ 성장한 덕에 연간 2% 성장이 가능했는데, 4분기 정부 기여도는 1%포인트로 민간의 5배에 달했다. ‘정부주도 성장’ ‘재정주도 성장’이라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 순환 측면에서 어려울 때 정부가 지출을 늘리는 건 맞지만 대부분 복지에 집중되다 보니 새로운 산업이나 인재를 키우는 등 민간 투자를 북돋는 데 한계가 있다”며 “민간의 투자 의욕을 고취할 만한 정책적 뒷받침도 부족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 성장률에 대해 ‘선방’이라고 표현하며 “반등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일단 올해 전망은 지난해보다 괜찮다. 정부와 한국은행·한국개발연구원(KDI)·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올해 성장률을 2.2~2.4%로 전망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예측대로 성장하더라도 수치상으로만 호전된 것일 뿐, 저성장에서 벗어난 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차기 한국경제학회장인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해 상당히 부진한 상황에 대한 기저효과가 크다”며 “경제가 별로 좋아지지 않아도 수치상으로는 지난해보다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김도년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4ODgxNd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ODg4MTU?oc=5
2020-01-22 15:04:09Z
52782135305293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