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ile.mk.co.kr/news/facebook_mknews.jpg)
분양가상한제는 단기적으로 분양가를 묶어 집값 급등 불안을 잠재울 수는 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공급 위축 등 부작용을 부르면서 시장에 독이 될 수 있다. 택지를 보유한 건설사뿐 아니라 재건축·재개발 사업자들이 분양가 하락에 따른 수익성 하락을 이유로 사업을 중단하면 공급 물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참여정부 때도 민간 분양가상한제 실시 후 강남권 재건축이 수년간 올스톱됐었다. 2007년 30만가구가 넘었던 아파트 신규 분양 물량도 2010년 17만가구로 급감한 바 있다.
2007년 9월부터 상한제가 적용되자 건설사들이 그 이전에 물량을 대거 밀어내면서 미분양이 16만가구에 달하는 등 시장 교란도 일어났다. 또한 청약에 당첨된 이들만 높은 시세차익을 거두는 `로또 아파트` 가 등장하고, 주택 품질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정부도 과거 분양가상한제를 시행했을 때 발생한 문제점을 모를 리 없다. 무엇보다도 공급을 틀어막아 집값이 되레 상승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 있는 만큼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www.mk.co.kr/opinion/editorial/view/2019/06/465235/
2019-06-27 15:01:02Z
52781768062762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