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측의 이번 대응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ESS 화재 사고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삼성SDI 배터리가 들어간 시설에서 화재가 일어난 자체가 문제라는 것.
삼성SDI는 화재 원인과 해결책을 다각도로 분석, 사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화재 확산 차단용 특수 소화시스템이다. 만에 하나 배터리 이상이 생겨도 첨단 약품과 열확산 차단재를 사용,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구조다. 이 경우 배터리 셀 중 하나에 이상이 생겨도 다른 셀을 보호하는 효과도 낸다.
10월부터 출시된 삼성SDI ESS에는 모두 이 소화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미 설치, 운영 중인 ESS 1000곳에도 약 2000억원을 들여 특수 소화시스템을 보급한다.
삼성SDI는 ESS 화재 선제 대응책을 통해 자사 배터리의 안전을 증명한다는 각오다. 앞서 정부는 2017년부터 일어난 ESS 화재 조사 당시 구체적 원인을 찾지 못했다. 대신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운영 환경 관리 미흡’등 복합 원인으로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배터리가 ESS 화재 원인이 아니라고 강조하면서, 잇따른 화재로 우려가 커진 업계와 불안에 빠진 국민을 위해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전영현 삼성SDI 사장은 "ESS 화재 원인과 무관하게 선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글로벌 리딩 기업의 책무다"며 "이번 조치를 계기로 한국 ESS 산업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기 바란다"고 밝혔다.
키워드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14/2019101401899.html
2019-10-14 08:02:00Z
52781950233454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