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30일 이사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전기공급 약관 시행세칙 변경(안)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의 인가를 받으면 당장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주택용 할인 대상자, 10~15% 전기료 인상
![29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 서울본부 모습.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30/89312a8b-1b63-4a34-837e-018144087f10.jpg)
29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 서울본부 모습. [뉴스1]
한전은 먼저 일반 주택에 적용되던 전기 요금 특례할인부터 종료한다고 밝혔다. 주택용 절전 할인은 지난 2년 같은 달 사용한 평균 전력량을 비교해 20% 이상 절감한 주거용 주택 고객에 대해 할인을 적용하는 제도다. 동·하계의 경우 월 전기료의 15%를, 기타 계절은 10%를 할인해준다. 정창진 한전 요금기획처장은 “주택용 절전 할인제도를 도입 전후 전력 소비량에 큰 폭의 변화가 없었다”며 “특히 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이 매우 낮게 나타나 절전 유도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기차는 단계적 폐지, 전통시장은 유지·확대
![정창진 한국전력 요금기획처장이 30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2019년 일몰 예정 전기요금 할인제도에 대한 합리적 개선안'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30/0bf267e8-6fbc-45d2-8427-8aa0b60b6228.jpg)
정창진 한국전력 요금기획처장이 30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2019년 일몰 예정 전기요금 할인제도에 대한 합리적 개선안'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뉴스1]
그러나 한전의 결정에 따라 오는 2020년 7월~2021년 6월까지 기본요금 할인은 50%, 전기료 할인은 30% 수준으로 축소된다. 2021년 7월~2022년 6월은 해당 할인 비율이 각각 25%와 10% 수준으로 줄고, 2022년 7월부터는 전면 폐지된다. 정부 정책에 따라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할인액도 2017년 71억원에서 올해 333억원 수준으로 4.7배 늘었지만, 이 역시 축소될 예정이다.
월 5.9%를 할인해 준 전통시장은 전기요금 할인은 6개월 후로 일몰을 미뤘다. 지원 방식도 기존 할인에서 할인 금액만큼 한전이 기부금 방식으로 직접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한다. 전통시장의 전기요금 할인은 주택·전기차에 적용되던 할인액의 10분의 1 이하(27억원)로 적다. 한전 측은 “전통시장 영세상인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되도록 기존 연간 전기요금 할인액의 2배 수준인 연 57억원을 5년간 투입하겠다”며 “전통시장 에너지 효율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일관성 없는 정책, 결국 총선 의식한 것”
최근 월성1호기에 대한 영구 정지를 시행하는 등 가속화한 탈원전 정책이 이어지는 한 향후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나온다.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기 생산 비용이 올라 적자에 허덕이는 한전으로서 특례할인 일몰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탈원전을 외치며 전기요금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2OTI5M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jkyOTI?oc=5
2019-12-30 09:15:07Z
52782086023707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