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민간분양가상한제 도입 예고로 공급 축소 우려가 제기되면서 신축 아파트에 이어 구축, 나 홀로 아파트까지 매수세가 붙고 있다. 사진은 상한제 발표 후 잇따라 거래가 이뤄지며 신고가를 경신한 용산구 한강로 소재 `한강로쌍용스윗닷홈(98가구)` 모습. [이승환 기자]](https://file.mk.co.kr/meet/neds/2019/10/image_readtop_2019_802054_15703513433926764.jpg)
![사진설명](https://img.mk.co.kr/main/2015/mk_new/ic_arrow_top.gif)
6일 매일경제신문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통해 서울 아파트 거래를 조사한 결과, 지난 8월 이후 연식이 오래된 나 홀로 아파트에서 신고가가 잇달아 나왔다. 종로구 명륜동에 위치한 `명륜아남`(301동)은 136가구 1동짜리 아파트다.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이 발표된 뒤 서울 핵심지 주택 공급이 중장기적으로 희소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에 서울 전역 아파트 매수세에 불이 붙었고, 이는 곧바로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작년 9·13 부동산대책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집값이 상한제 예고가 있던 지난 7월 이후 그야말로 치솟았고, 이에 놀란 실수요자들과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오른 소규모 단지 매수에까지 나섰다. 이는 이들 아파트 거래를 확 늘리고 신고가를 쓰게 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일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관리처분 인가를 받은 단지에 한해 6개월 유예해주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실제로 이 유예기간을 활용해 상한제를 피할 단지가 예상보다 많지 않은 데다 미봉책이라는 시장 판단에 신축을 중심으로 상승했던 가격과 매수세가 구축, 나 홀로 아파트 순서로 옮겨 붙는 형국이다.
정부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통해 분양가를 낮춰 무주택자에게 혜택을 주겠다는 입장이지만 젊은 20·30대는 물론 40대 초반에게도 이는 `그림의 떡`이라는 점도 기존에 건축된 아파트와 나 홀로 아파트 매수세를 부추기고 있다. 젊은 층은 무주택 기간으로 얻을 수 있는 점수에 한계가 있어 고가점을 받기 어렵다. 결국 `그림의 떡`인 청약을 포기하고,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접근 가능한 나 홀로 아파트에까지 손을 뻗고 있는 것이 현재의 거래 폭발과 가격 상승을 만들었다고 해석된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현재 서울 주택 문제의 핵심은 공급 부족인데 이를 해결하지 않고 수요만 누르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면서 "공급 부족으로 새 아파트 희소가치가 높아지고 가격이 오르면서 같은 지역의 구축과 나 홀로까지 갭 메우기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인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19/10/802054/
2019-10-06 08:42:22Z
CAIiEDQ69oNN0ec2r5GYGdBzDDwqGQgEKhAIACoHCAow2t-aCDDArqABMNST5AU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