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공급망 붕괴, 관광 악영향
메르스 때와 달리 수출에도 악재”
“2분기 코로나 지속 땐 하향 불가피”
G20 성장률도 0.2%P 낮춘 2.4%
무디스는 “코로나19에 따른 중국 경제의 충격이 다른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관광 등에 악영향을 주고, 일시적인 생산 공급망 붕괴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중국의 성장률을 기존 5.8%에서 5.2%로 0.6%포인트 대폭 낮췄다. 그러면서 주변국인 일본, 호주와 함께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내려 잡았다. 올해 주요 20개국(G20)의 전체 성장률도 2.6%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마드하비 보킬 무디스 부사장은 “이번 사태는 무엇보다도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며 “중국 경제의 중요성, 세계경제와의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면 다른 국가들에까지 충격이 확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디스가 성장률 하향 이유로 꼽은 관광 악영향과 생산 공급망 붕괴는 이미 현실화했다. 지난해 방한 관광객의 34.5%를 차지한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하면서 면세점과 백화점 등의 매출은 급락하는 추세다.
무디스, 중국 성장률 5.8%서 5.2%로 낮춰…최악 땐 4% 전망
![무디스 올해 성장률 전망 조정.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2/18/53addcb7-2562-4566-b18d-e6925bde1306.jpg)
무디스 올해 성장률 전망 조정.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게다가 무디스는 추후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더 낮출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겼다.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5.2%로 전망한 건 코로나19 여파가 올해 1분기에 마무리됐을 때다. 만약 2분기에도 코로나19가 중국의 소비 및 생산에 타격을 입힐 경우 중국은 올해 성장률 4%, G20은 2.1%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무디스는 내다봤다. 이러면 수출 중심 경제로 중국을 포함한 주요국 경제와 연관이 깊은 한국은 더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후폭풍이 점점 커지면서 경기 반등을 꾀하던 정부는 비상이 걸렸다. 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4%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최근 일일 속보지표 점검 결과 대중 수출과 중국인 관광객 감소가 뚜렷하고, 소비심리 위축으로 음식·숙박업과 백화점, 대형마트 매출이 줄었다”며 “현장의 어려움이 지표로 확인된 만큼 극복 대책이 매우 긴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중 종합 경기 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cwODUxNN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3MDg1MTQ?oc=5
2020-02-17 15:04:09Z
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cwODUxNN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3MDg1MTQ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