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is, 06 Februari 2020

ESS 화재원인이 ‘인재’라던 정부… 1년 안돼 ‘배터리 이상’ 결론 - 국민일보


민관합동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원인 조사단이 ‘배터리 이상’을 지목했다. 지난해 6월 ‘인재’라고 결론 내린 1차 조사를 1년도 지나지 않아 뒤집은 것이다. 그러면서도 배터리 이상이 설계 결함 등으로 발생한 것인지 명시하지 않았다. 배터리가 문제인지, ESS가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무리한 운용방식이 문제인지 뚜려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이에 근본 원인을 밝히는 데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즉각 조사단이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돼)식으로 마무리지었다고 반발한다. 현상만으로 원인을 지목한 ‘무리한 논리’라는 반박이다.

조사단은 지난해 8월 이후 추가 발생한 ESS 화재 5건을 대상으로 4개월에 걸쳐 현장조사, 증거물 분석, 기술토론 등을 진행했고,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6일 발표했다. ESS는 태양광과 풍력 등으로 만든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조사단은 지난해 6월 1차 조사 결과 발표 이후에도 추가로 ESS 화재가 발생하자 배터리 자체 결함에 무게를 두고 정밀조사를 벌였다. 화재현장 5곳의 운영기록, CCTV를 살피고 배터리를 해체해 분석하기도 했다. 설치된 곳의 주변 환경과 전기적 충격 여부 등도 들여다봤다.

조사단은 5곳 중 4곳의 ESS의 경우 배터리에서 화재가 시작됐다고 판단했다. 배터리의 과도한 저전압, 전압 변동 시 지나치게 커진 편차, 배터리 내부 불량 등이 화재를 일으켰다고 봤다.

조사단은 “충남 예산(LG화학), 강원 평창(삼성SDI), 경북 군위(LG화학), 경남 김해(삼성SDI)는 충전율 95% 이상인 상태로 ESS를 운영하는 방식과 배터리 이상 현상이 결합해 화재를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정부의 1차 조사를 뒤집는 것이다. 조사단은 1차 조사에서 배터리 자체 결함에 대해 “화재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수준이 아니다”고 판정했었다. 특정 회사의 배터리 일부 셀에서 극판 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이 확인됐지만 화재로 곧바로 이어지는 핵심 문제는 아니었다고 설명했었다. ‘관리 소홀’이 화재 원인이기 때문에 관리체계를 강화하라는 해법도 제시했었다.

다만 조사단은 ‘배터리 이상’이 설계 결함 등 제조사 과실인지는 밝히지 못했다. 김재철 공동단장(숭실대 교수)은 “화재로 배터리가 다 타버려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기 어렵다. 배터리 운영기록과 에너지 운영기록을 분석한 결과 배터리 자체에서 화재가 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고, 이에 따른 재발 방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는 화재와의 직접 연관성을 밝혀내지 못했다면서 조사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삼성SDI는 이날 자료를 내고 “조사단이 분석한 내용은 화재가 발생한 사이트가 아닌 같은 시기에 제조돼 다른 현장에 설치·운영하는 배터리를 분석한 결과”라며 “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맞는다면 같은 배터리가 적용된 유사 사이트에서도 화재가 발생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배터리 내 큰 전압 편차, 충전율 급상승·급하강 등은 화재를 일으킬 수 없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LG화학도 “조사단이 발견한 양극 파편, 리튬 석출물, 음극 활물질 돌기, 용융 흔적 등은 일반적 현상·실험을 통해 화재의 직접적 원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LG화학은 일부 셀에서 극판 접힘 등 제조 결함 문제가 불거졌던 ESS 배터리(2017년 중국 난징공장 생산) 전량을 자발적 교체키로 했다. LG화학 측은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충전율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화재 재발을 막을 계획이다. 신규 설비는 충전율 제한 조치(옥내 80%, 옥외 90%)를 의무화하고, 기존 설비는 동일한 충전율로 하향토록 권고할 방침이다. 충전율이 낮아져 발생하는 업계 부담은 재생에너지 연계용 ESS 운영기준 및 특례요금 개편 방안을 마련해 해소한다. 피크저감용 설비의 경우 충전율을 낮추면 전기요금 할인을 적용하는 식이다.

문동민 산업통상자원부 자원산업정책관은 “ESS 설비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ESS 산업경쟁력을 지속 강화할 수 있도록 정부도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최예슬 기자 feel@kmib.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LWh0dHA6Ly9tLmttaWIuY28ua3Ivdmlldy5hc3A_YXJjaWQ9MDkyNDEyMTc5MdIBMWh0dHA6Ly9tLmttaWIuY28ua3Ivdmlld19hbXAuYXNwP2FyY2lkPTA5MjQxMjE3OTE?oc=5

2020-02-06 19:02:00Z
52782165337945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